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슈]
중국 부동산시장이 연초 일시적으로 회복한 후 재침체(Double dip) 국면에 진입 한가운데 부동산개발 기업들의 디폴트 우려도 가세하면서 경계감이 증대

 

1. 주택가격과 거래량이 각각 2개월, 3개월 연속 위축되면서 부동산경기지수가 역대 최저

2. 7월 주요 부동산 개발업체인 완다그룹, 비구이위안 등이 임박한 채무를 상환하지 못하는 사태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디폴트 우려 증대

중국 주택가격 및 거래량
중국 주택가격 및 거래량

[전망]
부동산시장이 금년 말 경에는 정부의 시장활성화 조치 등으로 어느 정도안정되겠으나 이미 구조적 전환기에 진입하여 의미 있는 회복세를 보이기는 쉽지 않을 전망

 

1. (수급불안) 주택공실 급증 등으로 공급과잉 현상이 심화되면서 추가가격 하락에 대한경계감이 상당한 가운데 수요 역시 인구 고령화 등으로 연간 3%씩 줄어들며 시장이 둔화

중국 상위 10개 도시 PIR
중국 상위 10개 도시 PIR

2. (투자심리 위축) 상반기 모기지 조기상환 규모가 8%에 육박하는 등 가계 등이 향후 경기위축을 우려하여부 채를 갚는 ‘대차대조표불황’ 현상이 이어지며 부동산경기회복을 제약할 가능성

모기지론 규모 및 전체대출 대비 비중
모기지론 규모 및 전체대출 대비 비중

3. (정책지원) 중국 정부가 7월 정치국 회의 이후 계약금·대출한도 조정 등의 수요촉진정책을 중심으로 부양 규모를 점진적으로 강화해 나가면서 시장위축 완화 요인으로 작용

중국 주요수요 촉진 정책 유형 및 비중
중국 주요수요 촉진 정책 유형 및 비중

[위험요인]
부동산시장 위축이 시스템 위기로 악화될 여지는 적으나 신용리스크 확대, 정부재정악화 등으로 전이되면서 불안을 야기할 우려

 

1. (신용리스크) 1년 내 회사채 만기도래분의 약 45%가 부동산 관련 업종이며 주요 개발기업들의 단기부채 대비 현금비율도 크게 낮아져 신용등급 하락 및 디폴트 등이 우려– 금년 역외 하이일드 채권 디폴트율이 부실기업 등을 중심으로 약 30%에 달할 전망(GS)

부동산 역외 하이일드 채권 티폴트율
부동산 역외 하이일드 채권 티폴트율

2. (재정악화) 정부수입의 약 20%를 차지하는 토지매각수입이 사상 최초로 2년 연속 감소하고부동산부양 지출도 커지면서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악화된 지방정부 재정우려가 확대될 소지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

[시사점]
향후에도 부동산시장 부진이 장기화될 경우 경기하방압력이 커질 뿐 아니라 부동산세 도입 등 구조개혁까지 지연되면서 사회불만이 확산될 가능성

 

1. 금년 성장률이 부동산시장 부진으로 최대 1% p 낮아지고 정책재원이 부동산 부양에 소모되면서 사회불평등 해소 및 첨단산업 육성 등 핵심목표 추진에 어려움이 가중될 소지

2. 정부 정책재원이 부동산시장 활성화에 소모되면서 사회불평등 축소를 위한 구조개혁과 정부 주도의 첨단산업 육성 등에 어려움이 가중될 소지

주요국 최고상속세율
주요국 최고상속세율

-국제금융센터, Flash News 2023.08.19-

230816-중국+부동산시장+전망+및+리스크.pdf
1.31MB
중국 부동산 개발 기업 헝다그룹중국 부동산 개발 기업 헝다그룹중국 부동산 개발 기업 헝다그룹
중국 부동산 개발 기업 헝다(에버그란데)

반응형
댓글